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10430
- PreferenceManager
- debugSymbolLevel
- 꼬마 정민
- dp
- 백준3085
- 브루트포스
- 기본메신저
- 개수 세기
- 파이썬
- safari world
- 1330
- BitMasking
- 새싹
- 18108
- 백준
- 디버그심볼
- Class Delegation
- baekjoon
- Counting The number
- 사파리 월드
- 백준1107
- 코틀린
- 백준1476
- 10926
- kotlin
- Android
- 2525
- 10807
- 25083
Archives
- Today
- Total
세상을 더 좋게
[백준] 1158 '요세푸스' 파이썬(python) 본문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58
1158번: 요세푸스 문제
첫째 줄에 N과 K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. (1 ≤ K ≤ N ≤ 5,000)
www.acmicpc.net
n, k = map(int, input().split())
arr = [i for i in range(1, n+1)] #1에서부터 배열로 늘여놓은 것. 이걸 원이라 생각하면 된다.
answer = [] #답변
num = k-1 #리스트에 인덱스를 찍을 숫자. 인덱스이기에 -1을 함
for i in range(n):
if len(arr) > num :
answer.append(arr.pop(num))
num += k-1
elif len(arr) <= num :
num = num % len(arr) #인덱스를 배열 총합으로 나눈 나머지. 이렇게 되면 맞더라
answer.append(arr.pop(num))
num += k-1
print("<", ', '.join(str(i) for i in answer), ">", sep="")
문제를 이해하고 리스트를 하나의 원이라고 이어붙이면 간단히 풀 수 있다.
물론 num = num % len(arr) 의 부분이 이해가 안 될 수도 있지만, 이러한 규칙을 찾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생각된다.
pop을 이해하고 append를 이해하는 결국 스택이나 큐의 이해를 돕는 문제